top of page

1.

Exhibition Contents Design - Grandma
(virtual design contents)

​할머니의 80년 인생은 그 어떤 영화나 소설보다 감명깊고 아름다웠다. 일제시대와 한국전쟁을 겪었으며,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한 여성으로 할머니의 삶을 바라보았다. 그 누구보다 강인하고 아름다우며, 순수한 내면을 가진 여성, 할머니의 삶을 몇가지 모티브로 표현하였다. 전시 컨텐츠와 공간디자인 곳곳에 녹아든 의미를 찾아보며, 이 전시를 통해 세대간의 공감과 이해, 여성의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한다. 

 

Inspired by my grandmother's 80years life, I designed this exhibition contents and space plan. Through this monumental exhibition, I hope to people who live in modern society feel sympathy of her era and find beautiful moments in her life. 

Background

IMG_1132.jpg
46.jpg
스캔 1.jpeg
10.jpg

​할머니는 나의 가족이면서, 동시대의 여성상을 대표하는 여성 이기도 하다.  일제시대와 한국전쟁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하고 강인한 그녀에게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그녀의 삶에 대한 인터뷰와 연구를 통해 나는 그동안의 고난, 행복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에는  모든 것을 견디고 사랑할 수 있게 해주는 강인한 내면의 힘이 있었다.    
 이 전시를 통해 그녀의 삶과 내면의 아름다움을 들여다 보며, 현재를 살고있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My grandmother is not only my grandmother, but she also represents the female figure of her time. I found the beauty in the pure and strong heart of my grandmother, who surviv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war and poverty. 

 Through interviews and research on her life, I was able to experience and empathize with her hardship, happiness indirectly. And among them there was a strong and Inner mind empower that allowed her to endure and love everything.    

 Through this monumental exhibition, I intend to connect with her life and inner beauty, also understand the era that many people of now couldn’t experience.

>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over several days, taking into account the grandmother's health condition. I prepared some questionnaires and listened her story. Some of the answers were as I had expected, but there were some completely different answers. 

 

> Questionnaires and memos for answers

  - After the interview, I listened to the recorded conversation and took notes on the questionnaire.  And I marked the most impressive answers and events. 

> She answered about hard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Of course it was so painful, but my parents were harder than me.' and, 'I was so lucky that be with my family'. 

   These answers were very different than I expected to say it was just a nightmarish and challenging time.

Keywords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5.29.44.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5.29.50.png

Design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5.32.25.png

> Space Design Concept

   According to this 'Grandmother' exhibition, the audience can sympathize her lifetime story, which  flows by the sequence. Furthermore, essential vital words are 'Memory', 'Lifetime' and 'Lookback'. So  with these keywords and leitmotif 'White Camellia' and 'Water', I designed structure, flow and primary  material, and tried to reach the goal of empathy and lookback was well revealed.

스크린샷 2019-12-29 오전 1.13.16.png
스크린샷 2019-12-29 오전 1.14.05.png
스크린샷 2019-12-29 오전 1.13.22.png
스크린샷 2019-12-12 오후 4.31.25.png
스크린샷 2019-12-29 오전 1.14.12.png

​'동백꽃' 을 모티브로 한 공간계획. 내부의 가장 중심 공간으로 점점 들어가는 원형 구조로, 한 개인의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마침내 내면의 공간을 들여다 보는 듯 한 구조와 동선으로 디자인 했다. 할머니의 인생에서 가장 인상적 이었던 순간들을 크게 네가지로 나누어 시대순으로 나열하였다. 할머니의 변하지 않은, 중심이 되는 내면을 의미하는 가장 안쪽 공간은 잔잔한 물에 둘러싸여 있으며, 다리를 건너 들어갈 수 있다. 

> The circle space, which is inspired by the shape of camellia, is for 'Lookback'. Each layer of petal represents her memory follow the sequence.

스크린샷 2019-10-27 오후 11.58.01.png
스크린샷 2019-10-27 오후 11.58.09.png

​전시공간에서 물은 외부와 개인의 시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관객들은 '다리'를 건너 순수한 개인의 시간과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Inclusive exhibition space is surrounded by water, and this pattern repeated in core space located in the centre. Step into the exhibition space across the water means not only look into someone's life and mind but also go to the more independent area separate from the world. 

스크린샷 2019-10-26 오후 9.46.59.png
스크린샷 2019-10-26 오후 10.41.27.png
스크린샷 2019-07-11 오후 5.55.00.png
스크린샷 2019-07-11 오후 5.54.24.png
스크린샷 2019-07-11 오후 5.53.54.png
스크린샷 2019-07-11 오후 5.54.13.png

Material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2.00.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3.11.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3.15.png

기억의 레이어를 지나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했다. 단단하고 반투명한 재질, 투명하고 일렁이는 물결과 화이트 컬러는 그런 의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반투명한 벽으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관객들은 희미하게 비치는 다른 공간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기억을 느낄 수 있다.  시간과 기억,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은 오랜 것 이라도 희미하게 남아, 결코 사라지지는 않는 것 들이다. 

 

  To communicate effectively,  i studied visual medium 'materials'. Based on keywords and leitmotifs that are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the focus was on finding materials that can express the flow of time and memory, and a soft, strong, beautiful grandmother. 

 The materials were tes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ing, materials, and water. And colours were restrained as much as possible to help them feel better about the changes in content and materials.

lookback was well revealed.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4.17.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4.39.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0.49.10.png

Contents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14.34.png

전시는 1940년 부터 할머니의 생애에서 특히 기억될 만한 시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과 일제강점기의 힘든 시기부터 오늘날까지 그녀는 어떤 상황에서도 행복과 따뜻함을 잃지 않았다. 그녀의 이런 강인함을 중심으로  전시의 내용은 시간 순서에 따라 구성되며, 각 섹션마다 다른 매개체와 아트웍으로 표현된다. 

 

  Since 1940, grandmother has been through many things. The exhibition is organized with grandmother's chiefly remembered events in her lifetime. From the hard times of the war and the Japanese colonical period to nowadays, she gradually fills with happiness. Thus, the contents of this exhibition are designed and organized by the sequence, with different mediums and artworks in each section.

1.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40년, 할머니는 일본에서 태어나셨다. 한국은 일제의 강점하에 있었고, 한국인 소녀로 일본에서 살아가는 것이란 혹독했다. 6년 후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도 힘든시절은 계속 되었다. 머지않아 6.25전쟁이 터졌고, 할머니의 어린시절은 꿈을 가질 겨를 조차 없이 힘들었다. 그러나 인터뷰에서 할머니는 그 시절에 '그래도 가족과 함께여서, 부모님이 나를 사랑해 주셔서 행복했다' 라고 회고하셨다.  

  When she was born in 1940, Japan, South Korea was suffer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e had a hard and miserable time not to go back to my country, and the same was true when I returned to Korea afterwards. Even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she had to have a hard childhood without the time to have a dream.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28.33.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28.30.png

할머니의 힘든 시절과 고난은 흔히 표현되는 어둡고 아픈 소재 만은 아니었다. 너무 어려서 그 힘든것 조차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 어린시절에 느끼는 어둠이란 '어려운' 것 으로 해석되었다. 실타래를 그 매개체로 선택했고, 미래와 더 나은 내일에 대한 희망은 그 틈새에서 흘러나오는 희미한 불빛이다. 관객들은 그 희미한 불빛을 따라 늘어진 실타래를 해치고 지나가게 된다. 이런 불편함을 경험 함으로써, 나는 사람들이 그녀의 고충에 대해 동정심을 느껴보기를 바란다. 

I expressed her hard days in thin bundles of silk string. Follow the dim light coming out of a niche, and audience go through the section. By experience this an inconvenience, I intend to people feel sympathy about her hardship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29.19.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29.36.png

2. 대가족

 

  결혼 이후 할머니는 스무명이 넘는 대가족을 부양해야 했다. 끝없는 가사일 속에서 점점 잃어하는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린건 늘 가족이 남긴 밥을 모두가 떠난 후에야 부엌 한켠에서 허겁지겁 먹을 때 였다고 하셨다. 그녀가 부양해야 했던 많은 가족들을 '식구', '밥' 에 비유하여 각기 다른 하얀 밥그릇으로 표현하였다. 할머니에게는 고단하지만, 또 한편 으로는 그 대가족 속에서 안정감과 또다른 풍요을 느낄 수 있던 시절이었다. 

In Korea, meal, especially 'rice' had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in people's life. So, I represented people who my grandmother had to took care of as white porcelain bowl, one of the traditional and everyday tableware in Korea. 

Although every bowl has the same colour and material, but each of them has different details and shapes like people's characteristics.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45.30.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45.57.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45.44.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45.19.png

3. 행복한 기억 (바닷가 에서)

 

  할머니의 옛 기억에서 선명한 한 장면은 바닷가에서 가족들과 함께 노래하며 행복했던 날 이었다. 그날의 사진은 보는이도 덩달아 기분좋게 만든다. 행복했던 그날의 분위기를 다시한번 느끼고, 공감할 수 있도록 영상과 음향 연출로 구성된 디자인을 했다. 

   Good memory with family was at the seaside. 

 That was just an ordinary day in the past, but that small picnic was enough to make her happy and feel free from the hardship.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51.59.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52.02.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52.29.png
스크린샷 2020-03-05 오후 11.52.25.png

4. 변하지 않는 것

 

  중심에, 가장 안쪽에 위치한 공간은 다른 전시공간과 분리되어 다리를 건너 들어갈 수 있다. 관객들은 외벽과 같은 반투명 소재로 된 다리를 건너 들어가며, '내면으로 들어가는' 듯 한 물리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영원한 아름다움과 힘의 상징인 다이아몬드 로 만들어진 아트웍이 전시된다.

  The inner space is separated once again by a medium, water. Audience cross a bridge of translucent material, same as outer wall. It means physically to 'go inside' one's mind. Inside space is exhibited a bunch of  diamonds which is a symbol of eternal beauty and strength.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2.12.27.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2.12.37.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2.12.52.png

Core Space

  가장 안쪽에 위치한 공간(코어 스페이스)은 할머니의 변함없는 강인하고 순수하며 아름다운 내면을 의미한다. 독립된 이 공간은 외부 공간보다 더 섬세하고 아름다운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할머니의 모티브인 '흰 동백' 의 섬세한 꽃잎의 질감과 패턴을 입힌 반투명 소재의 벽으로 디자인 했다. 

 <Core space surrounded delicate petals>

  Inner space(Core space) means the grandmother's unchangeable robust, pure and beautiful inner mind. It is a space independent of external influences and surrounded by more delicate and beautiful walls than outer space. 

 Starting with the image surrounding the petals of 'White camellia' which is the motif of grandmother, the wall was designed with delicate petals' textures and patterns with translucent material.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0.31.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0.14.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1.24.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1.53.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2.05.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2.01.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2.20.png
스크린샷 2020-03-06 오전 1.11.31.png

Graphic

Poster and Brochure Design

 

  시간과 기억의 레이어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포스터와 브로슈어. 희미한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기억을 완성하듯이 할머니와 관련된 단어들의 레이어가 반복되고 그 위로

'G R A N D M A' 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떠오르는 형상을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브로슈어는 반투명한 종이 재질을 사용하여 전시장의 이미지를 축소시켜 옮긴 듯 한 연계성을 가진다. 

> Layer of Time

  Graphic design inspired by 'Layer of Memory'. Below the bold letters, there are several words about the grandmother. It is an image of a grandmother's beauty that has not changed in many years.

Brochure Design

포스터2 [복구됨]-02.png
포스터2 [복구됨]-03.png
bottom of page